「Idea Archive」 2019. 1. 24. 15:41

2019.0006.Archive : Speech Writer에게서 미래를 묻다.

2019.01.23. on Facebook

1.

백일장 2탄을 다 썼지만, 아직 제출하지 않았더랬다. 그냥 궁금해서, 과연 다른 급제자들은 뭘 어떻게 써서 배치했나 사실 궁금하기도 해서, 그냥 마침표(.)을 찍지 않은 채로 우리 연구원의 '민자도로관리센터 개소식' 에 참석했다.

우선 백일장 2탄의 경우에는 거의 흡사한 답안이 나와서 역시 다들 고만고만하구나 하는 생각을 했었더랬다. 뭐 이런저런 매체를 통해 접하는 이러한 형식의 글을 'Speaker' 본인이 쓰는 경우가 흔치 않기도 했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, 한편으로 드는 생각이 거기서는 우리와 같이 '백일장' 형태가 아니라, 전문적으로 글 쓰는 사람을 두고 있지 않았던가? 하는 생각도 되짚어보게 된다.

어찌되었건, 되도록이면 같은 단어를 반복하지 않고, 의미를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저러한 형태의 자리에서의 발언이 갖는 문법과 형식을 요소요소에 담으면서 글을 써내려 간다는 것은 어쩌면 좋은 훈련일지도 모른다. 물론 속 내용은 텅텅 빈 허상이라는 것이 안타까운 이야기이기는 하지만, 그것 역시 언젠가는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조용한 믿음을 가져본다.

2.

나의 보스가 자주 쓰는 말이 있다.

"단어의 근친상간"

나는 이 말이 매우 현재 나타나고 있는 현상을 매우 잘 설명하고 있는 '워딩' 이라고 생각한다. 그래서 이 단어를 생각해낸 확실한 것은 그 단어의 색채가 점점 옅어진다는 것이 그 한계를 여지없이 보여주기도 한다.

조용히 어딘가에서 열심히 자기일을 열심히 하고 있을 많은 선배, 후배, 동료분들이 본다면 욕을 할 수 있을만한 이야기지만, 따지고 놓고보면, 우리는 수 없이 많은 단어들을 늘어놓으며 (본질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은 수만가지를) 그것을 조합함으로써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만들고, 그것으로 '수행한 일'의 가지수를 늘여가곤 한다.

우리 같은 사람들을 손가락질 하는 사람들은 늘상 우리에게 묻는다. "너희가 하는 일 어차피 본질(현장, 이론, 기술, 원리, .... 등)은 하나도 모르면서 아무거나 가져다 쓰는것 아니냐" 고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꽤 심각한 자괴감이 들기도 한다. 어차피 논외에 있는 대상물의 반응에 그렇게 일희일비할 것도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서도, 분명 실제 일어나는 본질에 대한 생각은 아무래도 결여된 상태에서 일을 하고 있는 것만큼은 사실이니까.

어쩌면 글을 너무 못써서, 혹은 적확한 단어를 못 찾아내서, 우리가 하는 일을 멋들어지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일지도 모른다. 다만, 정말 진짜로 하는 일이 무엇인지는, 그것이 실체는, 그것의 효과는 무엇인지는 한번쯤 돌아보고 일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한다. 그러지 않으면 이 먹먹함을, 어찌 극복할 수 없을것만 같아서.

3.

(2.의 보론) 1차원적인 분류, 2차원적인 분류, 3차원적인 분류 ... 우리가 무언가를 바라보는 관점의 축을 여러개 놓으면 놓을 수록 빈공간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.

결국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Orthogonal 하지는 않은 여러 축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, 그 축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 중 채워지지 않은 곳을 밝게 비추는 역할이 아닐까 싶다.

그래 말로는 쉽게 내뱉지만, 인지하기 어려운 그런 공간이 우리에게는 무한정 존재한다는 점에서 아직 나아가야할 곳이 많다.

그냥 자꾸만 이 일을 하는 이유를 찾아보려고 하다보니, 잡설을 계속 늘어뜨리게 된다. 무엇을 해야하는 걸까? 사춘기를 지나 오춘기가 온 건지. 무엇을 하고 싶은 것인지, 무엇을 욕망하는지 가끔 헷갈릴 때가 있다. 어쩌면 까먹은지도 모르겠고, 사실 알았는지 조차 불투명할 때가 있다.